// 에드센스

혹시 제가 사용한 방법보다 더 간단하고 좋은 방법이 있다면 훈수 부탁드립니다.


1. 마주한 문제

클레이튼 기반의 dapp을 개발하며 블록체인의 트랜잭션과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간의 싱크를 보장해야하는 상황을 마주했다.

 

 

성공한 트랜잭션이면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해주고,

실패한 트랜잭션이면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해주지 않는, 그런 요구사항이었다.

 

 

클레이튼 블록체인에서 자체적으로 실패한 트랜잭션에 대한 롤백은 시켜주기에 클레이튼의 성공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 반영 여부를 정해야했다. [클레이튼 트랜잭션]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의 플로우였기에 이 사이에 트랜잭션의 성공여부만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의 트랜잭션을 발생시킬지 말지 결정하면 됐다. 

 

[클레이튼 트랜잭션] -> [트랜잭션이 성공했는지 확인]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하지만 블록체인은 트랜잭션이 확정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인 Finality라는 개념이 있기에 트랜잭션의 성공 여부를 조회하려면 이  Finality 시간 이후에 해야했다. 클레이튼의 경우 이 시간이 평균 1초라고 알려져있다. 평균이기에 실제 상황에서 약간의 오차는 있을 것 이다. 따라서 Finality만큼의 딜레이를 하고 트랜잭션 조회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실행의 절차를 밟아야 했다. 

 

 

즉, 필요한 조건은

 

1. 트랜잭션 조회에 delay를 줘야한다. -> Finality 때문에

2. 적어도 2회 이상 retry를 하며 조회해야한다. -> Finality 시간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3. 최대한 빠르게 트랜잭션의 성공 여부를 판단해야한다. ->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2. 고려했던 선택지

세가지를 고려했었다. 참고로 NodeJS로 개발했다.

 

1. 스케줄러를 통해 짧은 간격으로 확정되지 않은 트랜잭션들의 성공 여부를 조회하기

  1. 트랜잭션을 발생시킬 때 transaction_history 테이블에 트랜잭션의 발생 여부를 기록해두고 is_confirmed는 false로 둔다.
  2. NodeJS의 스케줄러를 통해서 is_confirmed가 false인 기록들을 짧은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조회하며 트랜잭션의 성공 여부를 확인한다.(트랜잭션 성공여부는 caverExtKAS 라이브러리의 getTransferHistoryByTxHash 함수를 사용했다)

 

문제점.

트랜잭션이 발생하지 않을때도 몇 초마다 항상 실행되기에 리소스 낭비라고 생각됐다.

 

 

 

2. 클레이튼 이벤트 리스너를 통해 트랜잭션이 수행될 때 발생되는 이벤트를 추적하여 판별하기

  1. 트랜잭션을 발생시킬 때 transaction_history 테이블에 트랜잭션의 발생 여부를 기록해두고 is_confirmed는 false로 둔다.
  2. 트랜잭션이 성공하면 열어둔 소켓을 통해 클레이튼 이벤트를 Listen할 수 있는데 트랜잭션이 성공하면 이벤트가 수신되므로(아마..?) 수신했다는 것은 해당 트랜잭션이 성공했다는 의미.

 

문제점.

가끔 성공한 트랜잭션의 이벤트가 리슨되지 않을때가 있었다. (왜일까..)

 

 

 

3. RabbitMQ를 통해서 딜레이와 재시도 기능을 구현하여 조회하기 (이 방법을 사용했다)

  1. 트랜잭션을 발생시킬 때 transaction_history 테이블에 트랜잭션의 발생 여부를 기록해두고 is_confirmed는 false로 둔다. 또 동시에 RabbitMQ로 발생한 트랜잭션의 정보를 publish한다.
  2. 컨슈머에서 이를 구독하고 이 시점에 트랜잭션 성공 여부를 조회한다.
  3. 트랜잭션이 성공이면 데이터베이스에도 관련 정보를 반영 후 ack으로 마무리하고, 실패면 retry_count를 1추가해서 DLX로 보낸다. 이곳에서 5000ms동안 대기하고 다시 작업큐로 메시지를 보내서 반복한다.(넉넉히 5초로 딜레이를 주었다)
  4. 3번에서 반복 횟수동안 모두 트랜잭션이 확정이 안됐거나 실패 판정이 나면 데이터베이스에 관련 정보를 반영하지 않고 ack을 반환한다.

 

이 방법을 선택한 이유

  • RabbitMQ를 통해서 사용자가 몰릴때 비동기적으로 안정적인 로직 수행이 가능하기에
  • RabbitMQ의 Durability를 통해 중요한 정보를 잃어버리지 않을 수 있기에
  • RabbitMQ의 DLX 기능을 통해 딜레이와 재시도를 구현할 수 있기에

 

 

 

 


3. RabbitMQ 구성

RabbitMQ는 위와같이 구성해보았다.

 

[1], [2]

클레이튼 트랜잭션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트랜잭션의 정보와 retry_count를 담은 메시지를 publish한다.

 

[3], [4]

지정한 익스체인지에서 지정한 큐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5]

트랜잭션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컨슈머에서 트랜잭션의 성공 여부를 확인한다.

성공이라면 서비스 로직을 실행하고 ack을 반환한다.

 

[6]

트랜잭션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거나 실패했다면 WAITING 익스체인지로 같은 메시지를 그대로 전달한다.

이때마다 retry_count에 1 씩 더해서 전달한다.

 

[7]

전달된 메시지는 TX.Q.WAIT_CONFIRM_CHECK 큐로 보내지는데 이 큐는 DLX와 TTL 설정이 돼있다.

 

[8]

지정한 TTL 시간이 지나면 메시지가 x-dead-letter-exchange로 지정된 익스체인지로 x-dead-letter-routing-key 바인딩 키를 사용해서 전달된다.

즉, 이 큐에서 5000ms 동안 대기하고 TX.E.DIRECT 익스체인지로 가게된다.

이때 바인딩키는 TX를 가지고간다.

TX는 TX.E.DIRECT와 TX.Q.CONFIRM_CHECK의 바인딩키다.

따라서 TX.E.DIRECT 익스체인지에 도착한 메시지는 TX.Q.CONFIRM_CHECK 큐로 다시 보내진다.

 

 

 

[4], [5], [6], [7], [8]의 과정을 최대 3번까지 반복하고도 트랜잭션이 실패라고 판별되면 최종적으로 실패처리(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지 않기)를 한 후 ack를 반환한다.

 

 

 

DLX의 개념과 동작방식은 아래 아저씨가 쉽게 설명해준다!

https://www.youtube.com/watch?v=ovE8NKAwqTI&ab_channel=MikeM%C3%B8llerNielsen 

 

 

 

 


4. 세부 구성

메시지는 

[1] -> [2]에서 5000ms 대기 -> [3] -> [4]의 순서로 움직인다.

 

 

 

 

 

후기.

뭔가 긴 고민끝에 찾은 방법이지만 결국은 기본적인 RabbitMQ의 활용법이었다!

RabbitMQ가 참 유용한 도구임을 새삼스래 느꼈던 경험이었다.

 

 

참고:

더보기

+ Recent posts